Created symlink from/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ntpd.serviceto/usr/lib/systemd/system/ntpd.service.
[root@localhost~]#
재 확인을 위해서 timedatectl 실행
Shell
1
2
3
4
5
6
7
8
9
10
[root@localhost~]# timedatectl
Local time:Wed2016-09-2110:48:57JST
Universal time:Wed2016-09-2101:48:57UTC
RTC time:Wed2016-09-2103:48:58
Timezone:Asia/Tokyo(JST,+0900)
NTP enabled:yes
NTP synchronized:no
RTC inlocal TZ:no
DST active:n/a
[root@localhost~]#
로컬 시간과 UTC시간은 수정이 된 것이 확인이 되고, 하드웨어 시간은 아직 반영이 되어 있지 않은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드웨어 시간을 바로 반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행을 하고 확인하면 시간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hell
1
2
3
4
5
6
7
8
9
10
11
[root@localhost~]# timedatectl set-local-rtc 0
[root@localhost~]# timedatectl
Local time:Wed2016-09-2110:59:22JST
Universal time:Wed2016-09-2101:59:22UTC
RTC time:Wed2016-09-2101:59:21
Timezone:Asia/Tokyo(JST,+0900)
NTP enabled:yes
NTP synchronized:no
RTC inlocal TZ:no
DST active:n/a
[root@localhost~]#
리눅스의 시간관리는 UTC시간을 기준으로 하드웨어 시간을 설정 하고, 타임존 설정에 따라서 로컬 시간을 산출을 한다. 윈도우에서는 하드웨어 시간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윈도우 시스템과 동시에 같이 사용하는 리눅스에서 하드웨어 시간을 윈도우에 맞추던지, 윈도우 시간을 UTC시간을 사용하도록 바꾸는 방법이 있다.
리눅스에서 하드웨어 시간을 윈도우에 맞추어 사용하는 방법은
Shell
1
timedatectl set-local-rtc1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 썸머타임을 사용하는 타임존에서는 썸머타임을 자동으로 적용받지 못하므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